-
[가상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기초] 개략적인 규모 측정과 시스템 설계 면접 공략법책/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2025. 3. 11. 09:14
개략적인 규모 추정이란?
어떤 설계가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성능 수치상에서 사고실험을 해서 추정치를 계산하는 행위이다.
데이터를 측정하는 단위?
2의 제곱수인 바이트단위로 측정한다.
응답 지연 값
당연한 이야기겠지만
디스크 조회보다 메모리에서 조회하는 것이 빠르니 디스크 조회는 피하자.
단순한 압축 알고리즘은 빠르니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전송하기 전에 압축하자.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분산되어 있고 센터간 데이터 주고받는데 시간이 걸린다.
가용성
고가용성이란? 시스템이 오랜 시간동안 중단 없이 운영될 수 있는 능력이다.
SLA 은 서비스 사업자와 고객 사이에 맺어진 합의를 의미한다.
큰 사업자들은 99%이상의 SLA 를 제공하는데 표를 보니
99%도 연간 장애 시간으로 하니 크게 보인다!
QPS
query per second 이고 사용자가 초당 보내는 요청의 수다.
면접 팁
올바른 절차를 밟아가야한다.
문제 해결능력이 중요하다.
근사치를 활용하고 단위를 붙이는 습관을 들여라.
3장 시스템 설계 면접 공략법
구체적 상황과 모범 답안을 제시해준 장이었음.
효과적인 면접을 위한 4단계 접근법
1단계 문제 이해 및 설계 범위 확정
올바른 질문을 통해 적절한 가정을 하고 시스템 구축에 대한 정보를 모으는 것
2단계는 개략적인 설계안 제시 및 동의 구하기
면접관과 협력하여 진행하는 것을 추천한다.
답을 알려면 출제자의 의도를 알아야 한다.
3단계 상세 설계
시스템 설계의 개략적 청사진이 마련된 상태
이제 상세 설계를 해야한다.
면접관과 설계 대상 컴포넌트에 대한 우선순위를 정한다.
상세 설계를 구조를 그려야 한다.
4단계 마무리
설계 내용 요약
결과물에 대한 후속 질문 대비
병목구간과 개선 포인트 찾기
오류 발생 케이스 및 운영 이슈와 확장 가능성 고려하기
팁
불필요한 세부사항에 신경쓰지 마라.
순위 알고리즘같은 것으로 빠진다든지 하지말고
전체적인 구조를 상세히 그리는 것에 집중한다.
면접관이 집중적으로 보려는 영역이 있을 수 있다.
면접 세션에서 해야할 것과 하지 말 것
해야 할 것
- 질문을 통해 확인하라. 스스로 내린 가정이 옳다고 믿고 진행하면 안된다.
- 문제의 요구사항을 이해하라
- 면접관과 소통하라
- 포기하지 말기
- 정답이나 최선의 답안은 없다.
- 가능하다면 여러 해법을 제시하라.
- 면접관의 아이디어를 끌어내라.
하지 말아야 할 것
- 요구사항이나 가정 분명히 하지 않은 상태애서 설계 제시하면 안된다.
- 컴포넌트 세부사항을 너무 깊이 설명하지 말라.
- 힌트 청하기를 주저하지 말고 자주 소통하라.
요약
개략적 규모 추정은 어떤 설계가 요구사항에 부합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성능 수치상에서 사고실험을 해서 추정치를 계산하는 행위이다.
면접을 할 때 자주 면접관과 소통해서 올바른 가정 하에 설계를 해야 한다.
포기하지 말고 답을 정해놓고 말하지 말자! 완벽한 설계는 없다!
얼마나 요구사항에 더 부합하게 설계할 수 있는지를 면접을 보는 것이다!
'책 > 가상 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상면접 사례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기초] 처리율 제한 장치 (0) 2025.04.02 [가상면접 사례롤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기초] 키-값 저장소 설계 (1) 2025.01.12